본문 바로가기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기간 및 금리와 정부 기여금 안내

noticia 2023. 11. 6.

청년도약계좌

도약계좌는 청년이 내는 돈과 정부가 지원하는 돈을 합쳐 다달이 최대 70만원(최대 월 40만원 정부지원)씩 연리 3.5%로 저축해 10년 후 1억원을 타갈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1억 만들기 통장’이며, 소득이 낮을수록, 청년의 납입액이 많을수록 정부 지원액이 늘어나도록 설계된 정책금융상품이다.

11월 가입신청 기간

11월 6일(월) ~ 11월 17일 (금)

10월 가입신청자 계좌개설 가능 기간

11월 1일(수) ~ 11월 17일(금)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및 계좌개설 기간 안내

  • 청년도약계좌 11월 가입신청 기간은 11월 6일(월) ~ 11월 17일(금)으로 가입요건 확인 후 12월 4일(월)~12월 15일(금)까지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
  • 10월 가입신청자 중 가입요건 확인절차를 거쳐 가입이 가능하다고 안내 받은 청년은 가입신청한 은행 중 1개 은행을 선택하여 11월 1일(수)~11월 17일(금)까지 계좌개설이 가능합니다.
  • 기존 신청자 중 가입요건 확인 절차를 완료하지 못하거나, 가한 내 계좌개설을 하지 못한 청년들도 재신청하여 청년도약계좌 가입요건 확인 후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자 편의성 제고

  • 가입신청 후 요건 확인기간을 1주 단축(3주>2주)하였습니다.
  • 가구원 동의를 위한 본인인증 방법으로 간편인증서비스도 추가로 도입되어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 긴급한 자금수요시 활용할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 담보부대출을 마이너스통장 방식으로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상품구조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최대 70만원 한도 내에서 '언제', '얼마나' 납입할 지를 자유롭게 결정 간으한 상품으로 중간에 납입이 없더라도 계좌는 유지되며 만기는 5년입니다.

개인소득 본인 납입한도(월) 기여금 한도(월)
총급여 기준 종합소득 기준
2,400만원 이하 1,600만원 이하 70만원 이내 24,000원 기여금 지급한도(월)
40만원의 6.0%
3,600만원 이하 2,600만원 이하 23,000원 기여금 지급한도(월)
50만원의 4.6%
4,800만원 이하 3,600만원 이하 22,000원 기여금 지급한도(월)
60만원의 3.7%
4,000만원 이하 4,800만원 이하 21,000원 기여금 지급한도(월)
70만원의 3.0%
7,500만원 이하 6,300만원 이하    

청년도약계좌 효과

5년간 연 총급여 2,400만원 이하인 청년이 일반은행에서 가입하는 경우

청년도약계좌

3년 고정기간 중 은행 제공금리

  1. 기본금리 연4.5% + 우대금리 연 0.5% + 은행별 우대금리 연 0%~1.0% = 최대 6%
  2. 매월 70만원씩 5년 간 납입한 경우 납입액은 총 4,200만원
  3. 납입액에 대한 은행이자 534 ~ 640만원 + 
  4. 정부기여금 및 관련이자(세전) 160만원 +
  5. 이자소득세 0원(비과세)
  6. 만기시 수령액 총 4,894~5,000만원

일반적금(과세상품)

금리 연 7.68~8.86% 인 상품에 가입했을 경우

  1. 은행 정기적금 평균금리 세전 3.59%(세후 3.04%)
  2. 매월 70만원씩 5년 간 납입한 경우 납입액은 총 4,200만원 
  3. 은행 이자(세전) 820 ~ 946만원 - 
  4. 이자 소득세 126~146만원
  5. 만기시 수령액 4,894~5,000만원

청년도약계좌 자세한 안내

자세한 안내는 취급기관인 11개 은행 콜센터와 서민금융진흥원 서민금융콜센터(1397)로 문의하기 바랍니다.

국민은행 1588-9999 부산은행 1588-6200
신한은행 1577-8000 대구은행 1566-5050
하나은행 1588-1111 광주은행 1588-3388
우리은행 1588-5000 전북은행 1588-4477
농협은행 1661-3000 경남은행 1600-8585
기업은행 1588-2588 SC제일은행 1588-1599

청년도약계좌 금리

기본금리(3년 고정금리)와 소득+우대금리, 취급기관별 우대금리는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https://portal.kfb.or.kr)에서 은행별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

댓글